1:N 반납기
본 프로젝트 진행 과정에서는 우리 팀이 가지고 있는 아이디어를 가장 간단하게 구현하여 보여줄 수 있는 형태의 반납기를 구현하였다. 라즈베리파이 하나가 반납기 하나를 이루는 형태의 반납기가 바로 그것이다. 당연하지만, 이러한 형태를 그대로 상용화 시키기에는 많은 제약이 있다. 기기 한 대당 반납기 하나를 준비해야 하기 때문이다. 라즈베리파이를 사용하지 않고 제품의 기초부터 설계하여 전용 프로세서, 전용 부품들로 제작하더라도 하나의 반납기를 제작하는데 적지 않은 비용이 들 것이고 거기다 50만 명에 달하는 국군 병사들에게 하나씩 지급해야 한다면 천문학적인 예산이 소모될 것이다.
따라서 프로세서 하나가 반납기 하나를 관리하는 1:1형태의 반납기는 실제 사용에 제한적이며, 이를 대체할 수 있는 구조를 생각해보아야 한다. 특히 이 지정과제는 처음에 '생활관별' 스마트폰 반납 시스템을 요구했으므로 프로세서 하나가 생활관용 반납기 하나를 운용하도록 설계한다면 위에서 제기한 문제도 해결할 수 있을 것이고, 제안자의 의도에도 훨씬 가까운 결과물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페이지에서는 한 프로세서가 여러 기기의 반납을 처리하고 보관할 수 있는 구조에 대한 고찰 및 아이디어를 제시하고자 한다.
공통 보관함
기기의 검증 후에는 옆에 있는 보관함으로 옮겨서 보관한다는 아이디어이다. 불출 시에는 생활관 단위로 한 번에 불출하도록 한다.

우편함 형태의 개별 보관함 사용
기기의 검증이 완료되면 우편함 형태의 개별 보관함에 기기를 보관한다는 아이디어이다. 검증 부분이 보관소 앞에서 자유롭게 움직이고, 기기 검증 후에 보관함에 넣어 보관하는 방식이다.

Last updated
Was this helpful?